배운 것들
- stringfy 함수 구현해보기(재귀 함수 사용)
- seriealize, deserialize
- Tree UI 구현하기
더 알아볼 것
- 재귀 함수와 메모리 사용량 간의 관계
- 꼬리 재귀
- 하노이의 탑 재귀
- 조합 재귀 함수
- js 객체와 JSON의 차이
stringfy함수를 구현해보았다. stringfy가 어떠한 구조로 돌아가는지 이해할 수 있어 재밌게 다가왔다. 함수를 구현해보는 게 굉장히 중요한 과정이라 생각이 들었다. 단순히 넘어갈 수 있는 문제이지만 이해를 하는 데 있어서 굉장히 큰 차이점이 있다고 생각했다. 배우면 배울수록 꼬리를 물며 알아가야 할 것들이 많아진다. 한편으로는 재밌지만 한편으로는 더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꾸준히 하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