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20

20210209 TIL 배운 것들 Express.js middleware git branch 더 알아볼 것 bodyparser next() 미들웨어 함수 restful api 스프린트에서 현재는 잘 사용하지 않는 방식으로 구현을 해보면서 어려움을 많이 느꼈다. 하지만 현재에 많이 쓰이는 쉬운 방식을 구현하는 데 있어서는 오히려 큰 도움이 됐다. 이러한 방식으로 학습을 하니 이해가 잘 돼서 좋은 것 같다. 그래서 요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재미를 느낀다. 이번에는 어드밴스가 없어서 도전을 못하고 조금 일찍 끝났다. 그래도 express 문서를 읽어보면서 express에 대하여 공부할 시간이 주어져 좋았다. 2021. 2. 9.
20210208 TIL 배운 것들 chatterbox server common js node 디버깅 더 알아볼 것 chunk chatterbox advanced stringify vs parse 채터박스 서버를 직접 구현하였다. 이번 스프린트의 테스트 케이스는 좀 별로 인듯하다. 내가 만든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방식이 달라 문제를 해결하는데 헷갈리기만 했다. 시간을 많이 낭비했다. 그래도 리프레시 시간을 가지니 금방 해결할 수 있었다. 저번 주말에 공부를 많이 하지 못했다. 집에 있는 시간을 줄이고 이번 설에 못한 부분을 보충해야겠다. 설 연휴 때 react에 대하여 한번 훑어보는 시간을 꼭 갖자 2021. 2. 8.
20210205 TIL 배운 것들http modulepackage.jsonmini node server 구현해보기 더 알아볼 것에러 기록해보기chatterbox advancedmininode server advancednetwork 콘솔과 친해지기Buffertcp / udphttp module (request, response) mini node server를 구현하였다. 처음 보는 개념이 밀려와서 정리를 하는 데 시간이 걸렸다. 또한 http 모듈을 사용하는 데 있어서 생소한 부분들을 막상 하려고 하니 감도 안 잡히고 정말 힘들었다. 결국 node.js의 레퍼런스를 참고해서 해결하였다. 잘 안돼서 레퍼런스를 참고하면서 마음이 좀 상했다. 주말에 http 모듈에 대해서 공부하고 이번 주에 배운 개념들을 정리하는 시간을 가지면서.. 2021. 2. 5.
javascript Promise 전에 비동기에 대하여 배웠다. 비동기는 특정 코드의 연산이 끝날 때까지 코드의 실행을 멈추지 않고, 다음 코드를 먼저 실행하게 된다. 그렇다면 이러한 비동기를 제어하여 순서를 부여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할까? const prinNum = (num) => { setTimeout( () => { console.log(num) }, Math.floor(Math.random() * 100) + 1 ) } const printAll = () => { prinNum(1) prinNum(2) prinNum(3) } printAll() printAll() printAll() // 123 231 132 숫자를 받아 랜덤 하게 비동기로 실행이 되어 숫자를 출력해주는 함수이다. 이를 실행하면 Math.random()에 의.. 2021. 2. 4.
20210204 TIL 배운 것들 chatterbox 만들기 서버 api 읽는 법 서버와 친해지기? ajax에서 요즘 xml 대신 fetch 더 알아볼 것 XSS , CSRF CORS postman 정규표현식 url , uri , domain, path name 채터박스를 만들어 채팅을 하는 웹앱을 구현하였다. 재밌었다. 프런트적으로는 만족하지 못하지만 백엔드 부분에서 잘 구현을 한 것 같아 기분이 좋았다. 하루가 정말 짧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고민하는 과정이 재미있지만 시간이 꽤 걸려서 잘하고 있는 것인지 의문이 든다. 하루가 짧다 보니 해결을 못하는 부분이 생기게 되었고 그로 인한 스트레스가 잠을 잘 때 영향을 준다. 잠을 요즘 설친다. 마음을 비우고 머리를 리프레시를 하자고 다짐을 해도 그게 잘 안된다. 스트레스 관.. 2021. 2. 4.
20210203 TIL 배운 것들 client server architecture http ajax 더 알아볼 것 query string singleton 패턴 mime 타입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통신을 전반적으로 배웠다. 관련 레퍼런스들을 읽고 나름 정리를 하였지만 아직 확 와 닿지는 않는 것 같다. 후에 블로깅을 하면서 공부를 더 해야겠다. 지금까지는 단지 내가 원하는 그림을 html에 뿌리는 연습을 하였는데 여기에 서버가 끼니 갑자기 머리가 멈춰버려서 정말 사소한 것에 한 시간 넘게 시간을 쏟았다. 내 머리가 원망스러웠다. 내일이 조금 두렵기도 하지만 힘을 내야겠다. 어제 만들어본 웹앱을 홈서버를 통해서 열어 보려고 했지만 포트 포워딩이 안됐다. 자체적으로 막아 논 것 같아 구글링을 하며 방법을 찾아봤지만 실패했다. 잠도 .. 2021. 2. 3.
20210202 TIL 배운 것들 Promise.all() async / await event loop 더 알아볼 것 Promise.all vs Promise.race try catch promise.all , async/await 등을 이용해 데이터를 다루는 연습을 하였다. 어제는 콜백을 사용하는 것과 promise 등을 사용하는 것에 차이를 잘 느끼지 못하였지만 데이터를 다루어 보니 차이가 확연히 느껴졌다. 엄청 간단하고 가독성도 좋았다. 그래서 콜백을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나면 promise와 async는 쉽게 풀 수 있었다. 또한 event loop에 대하여 레퍼런스를 통해 배웠다. 굉장히 이해가 잘되어 필요할 때 반복적으로 레퍼런스를 참고하면서 익숙해져야겠다. 시간이 조금 남아 아파치를 통하여 간단한 서버를.. 2021. 2. 2.
20210201 TIL 배운 것들 비동기 순서 제어 Promise callback으로 비동기 제어 Promise로 비동기 제어 node.js 모듈 사용법 더 알아볼 것 Promise chaining Promise 블로깅 call, apply, bind에서 null을 인자로 받는 경우 throw 비동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공부를 하였다. 콜백을 사용했을 때의 단점과 promise를 사용했을 때의 장점에 대하여 배웠지만 사실 많이 해보지 않아서 그렇게 크게 와 닿지 않았다. 최근에 생긴 문법인 듯하다. 필요하니 생겼을 것이고 장점 또한 확실하게 나와 있으니 자주 사용해보는 연습을 해야겠다. 1월이 정말 빨리 갔다. 정신없이 시간이 지났고 그만큼 얻은 것도 많았기에 시간이 빠르게 지나간 것에 대하여 후회는 없다. 요즘 체력이 .. 2021. 2. 1.
20210126 TIL 배운 것들 N-Rooks solver N-Queens solver 알아볼 것 dfs, bfs 문제 풀어보기 재귀 탈출 조건 찾기 연습 N-Queens stack으로 구현하기 오늘은 스프린트에서 solver 문제를 풀었다. 쉽게 생각하면 더 쉽게 접근이 가능할 것 같은데 내 머릿속에서 재귀를 돌다 보니 머리가 안 돌아갔다. 고생을 많이 했다. 여러 함수들을 섞어 쓰니 더 힘들었던 것 같다. stack으로 구현할 때는 좀 더 쉽게 생각하면서 접근해야겠다. 그래도 기분 좋은 점은 처음보다 시간 복잡도를 많이 줄였다. 어제 문제를 풀기 위해서 혼자서 새벽까지 하면서 고민을 많이 했는데 그럴 필요는 없는 것 같다. 차라리 여유를 가지고 리프레시를 하자. 2021. 1. 26.